Archive Categories Tags About Subscribe

mingrammer's note

I love computer science, system design and automation

  • 20-04-18
    Go 프라이빗 모듈 가져오기

    이번 글에서는 프라이빗 저장소에 저장된 Go 패키지를 가져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. 먼저 프라이빗 모듈을 가져오기 전에 간단하게 go get의 동작 방식부터 짚...

  • 20-02-13
    컨테이너 내부 Go 애플리케이션 디버깅하기

    회사에서 Go를 메인으로 서비스를 개발하다보니 당연하게도 Go 애플리케이션을 디버깅 해야하는 상황이 생기게 마련이다.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게 되면 디버깅...

  • 19-11-06
    푸시 데몬 메모리 누수 디버깅하기

    지난 6월초 즈음 어느 날 갑자기 팀 슬랙으로 저녁 푸시가 안날아갔다는 메시지를 받았다. 메시지를 받고 곧바로 어드민 서버에 들어가 푸시 데몬의 상태를 확인해보니 중간...

  • 19-08-03
    Cron에서 초단위로 스케줄링하기

    최근에 2초에 한 번씩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는 스크립트를 돌려야하는 일이 생겨서 cron으로 2초 단위 스케줄을 등록하려는데 cron은 최소 스케줄링 단위가 분이...

  • 19-06-02
    DynamoDB 배치 작업 재시도 구현 (Exponential Backoff)

    약 두 달 전에 게임 서버 인프라를 이전하면서 일부 유저 데이터를 RDB와 캐시 디비에서 AWS DynamoDB로 변환 및 이전하는 작업을 진행했었다. TMI: 이전에 작성한 I...

  • 19-02-01
    IDC에서 AWS로 Redis 데이터 이전하기

    작년 3분기 즈음에 내가 맡고 있는 두 개의 게임중 한 게임의 서버 인프라를 IDC에서 AWS로 이전해야하는 일이 생겼다. 기존 인프라 구성은 LB (Load Balancer) 뒤에 게임 서버 (웹...

  • 18-06-18
    [Go로 구현하는 블록체인] Part 7: 네트워크

    Building Blockchain in Go 시리즈를 번역한 글입니다. 서론 지금까지 우리는 익명의 안전하고 무작위로 생성된 주소, 블록체인 데이터 저장소, 작업 증명 시스템, 신뢰할 수 있는 트랜잭...

  • 18-06-14
    [Go로 구현하는 블록체인] Part 6: 트랜잭션 2

    Building Blockchain in Go 시리즈를 번역한 글입니다. 서론 시리즈 초반부에 필자는 블록체인은 분산된 데이터베이스라고 말한 적이 있다. 우리는 지금까지 “분산&rd...

  • 18-06-06
    [Go로 구현하는 블록체인] Part 5: 주소

    Building Blockchain in Go 시리즈를 번역한 글입니다. 서론 이전 파트에서는 트랜잭션을 구현했었다. 또한 비트코인에는 사용자 계정이 없고 개인 정보 (이름, 여권 번호 및 SSN등)...

  • 18-05-26
    [Go로 구현하는 블록체인] Part 4: 트랜잭션 1

    Building Blockchain in Go 시리즈를 번역한 글입니다. 서론 트랜잭션은 비트코인의 핵심이며 블록체인의 유일한 목적은 트랜잭션을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저장하는 것이기 때...

Older Posts →

© Copyright 2020 mingrammer

Powered by Hugo Theme By nodejh